글
지난 번에도 언급한 가장 좋아하는 야간 라이딩 코스인 하귀-이호-용담 해안도로-탑동 구간을 오늘도 돌고 왔다.
원래 해지기전엔 애월쪽으로 가는데 느즈막히 7시 무렵 나섰더니 벌써 해가 져서 하는 수 없이 용담쪽으로 코스를 변경했다. 7시에도 어두워지다니 어느덧 겨울이 성큼 다가옴을 느낀다.
http://app.strava.com/rides/1992453
워낙 많이, 자주 도는 코스라 편하게 갔지만 항상 그렇듯 이 구간은 차량 통행량이 많아 자전거 타기가 애월쪽에 비해 여의치 않고 오늘은 많이 늦은 시각이 아니다 보니 특히 더 타기 힘들었다.
반면, 배터리가 부족하여 전조등을 가장 약하게 켰는데도 그다지 위험하지 않았다. 가로등이 충분히 밝아 전조등은 내 위치를 나타낼 정도면 충분했다. 만약 애월쪽이었다면 전조등이 약하면 라이딩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총 구간은 17.6km, 쉬엄쉬엄 탔더니 딱 1시간이 걸렸다. 중간중간 지름길로 다녀 이제 자전거로 갈 수 있는 최단거리를 찾은듯 하다. 가급적 차량 통행이 적고 자전거가 다니기 편한 길로. 중간에 반드시 내려야 하는 구간도 있지만 어쨌든 로드 바이크로도 아무 문제 없이 다닐만 하다.
원래 해지기전엔 애월쪽으로 가는데 느즈막히 7시 무렵 나섰더니 벌써 해가 져서 하는 수 없이 용담쪽으로 코스를 변경했다. 7시에도 어두워지다니 어느덧 겨울이 성큼 다가옴을 느낀다.
http://app.strava.com/rides/1992453
워낙 많이, 자주 도는 코스라 편하게 갔지만 항상 그렇듯 이 구간은 차량 통행량이 많아 자전거 타기가 애월쪽에 비해 여의치 않고 오늘은 많이 늦은 시각이 아니다 보니 특히 더 타기 힘들었다.
반면, 배터리가 부족하여 전조등을 가장 약하게 켰는데도 그다지 위험하지 않았다. 가로등이 충분히 밝아 전조등은 내 위치를 나타낼 정도면 충분했다. 만약 애월쪽이었다면 전조등이 약하면 라이딩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총 구간은 17.6km, 쉬엄쉬엄 탔더니 딱 1시간이 걸렸다. 중간중간 지름길로 다녀 이제 자전거로 갈 수 있는 최단거리를 찾은듯 하다. 가급적 차량 통행이 적고 자전거가 다니기 편한 길로. 중간에 반드시 내려야 하는 구간도 있지만 어쨌든 로드 바이크로도 아무 문제 없이 다닐만 하다.
글
로드 바이크의 과학
카테고리 없음
2011. 10. 16. 03:30
인도는 쓰레기나 요철 때문에 달리기가 어려워 결국 차도를 달리게 되었고, 그 결과 MTB가 지닌 본래의 장점을 활용할 수 없게 되었다. 부하게 높게 걸려 단거리에서도 훈련이 된다는 말도 있지만 여러 사람에게 추월당하는 것보다 빠른 머신으로 다른 사람을 추월하며 가벼운 부하로 멀리 가는 쪽이 기분 좋은 훈련이 될 것이다. 자전거 택배원들도 이전에는 MTB를 사용했지만 요즘은 로드 바이크를 사용한다.
MTB와 로드에서의 필요 파워를 비교해본 것은 아래와 같다. 경사 없는 원형 코스에서 일정한 속도로 테스트 했으므로 차체의 중량차(약 1.5kg)의 영향은 적었다. 시속 30km를 내기 위해 필요한 파워는 다음과 같다.
1. MTB + 블록 타이어: 255W
2. MTB + 슬릭 타이어: 211W
3. 로드 + 튜블러(700x23C): 190W
『 로드 바이크의 과학』 p.19 ~ 20
MTB + 깍두기 타이어로 30km 속도를 내기위한 힘을 100%로 가정하면,
슬릭 타이어만 달아도 83%의 힘으로,
로드를 타게되면 74%의 힘 만으로 동일한 속도를 낼 수 있다.
글
라파 윈터 카라(Rapha Winter Collar)
카테고리 없음
2011. 10. 11. 00:38
지난 주, 옆자리 자덕이 라파를 주문하는 틈을 타 윈터 카라를 함께 주문했다.
윈터 카라는 일종의 버프로 UV 차단 중심의 사계절 사용하는 버프와 달리 메리노 울로 되어 있어 겨울철에 사용하는 제품이다.
물론 겨울에 쓸려고 작년에 산 스마트울의 바라클라바(메리노 울 100%)가 하나 있긴 하지만 이 것만 쓸건 아니기 때문에 번갈아 사용할 용도로 구매했다.
영롱한 남자의 핑크를 택했다. 눈이 부시다. 이제 핑크라고 챙피하고 이런 것도 없다. 쫄바지도 입는데 이런 것 쯤이야.
메리노 울이라 흐느적 거릴거란 예상과 달리 스판(Spandex)이 7%나 포함되어 있어 상당히 쫀쫀하다.
잠깐 스판이 어떤 소재인가 궁금해 위키피디어를 찾아봤더니 듀폰에서 1959년에 개발한 소재라고 한다.
잘 알다시피 쫀쫀함(expands)의 대명사가 되었고 의류에는 면이나 폴리에 섞어서 사용한다고.
윈터 카라도 메리노 울에 스판을 섞은 제품이다. 메리노 울의 포근함과 스판의 쫀쫀한 기능성이 잘 조화된 제품이다. 정품 버프도 갖고 있는데 버프 못지 않게, 아니 오히려 더 편할 정도로 쫀쫀하다.
메리노 울이 여전히 내 피부엔 조금 가려운듯 하지만 일단 계속 사용하면서 적응해볼 생각이다.
윈터 카라는 일종의 버프로 UV 차단 중심의 사계절 사용하는 버프와 달리 메리노 울로 되어 있어 겨울철에 사용하는 제품이다.
물론 겨울에 쓸려고 작년에 산 스마트울의 바라클라바(메리노 울 100%)가 하나 있긴 하지만 이 것만 쓸건 아니기 때문에 번갈아 사용할 용도로 구매했다.
영롱한 남자의 핑크를 택했다. 눈이 부시다. 이제 핑크라고 챙피하고 이런 것도 없다. 쫄바지도 입는데 이런 것 쯤이야.
메리노 울이라 흐느적 거릴거란 예상과 달리 스판(Spandex)이 7%나 포함되어 있어 상당히 쫀쫀하다.
잠깐 스판이 어떤 소재인가 궁금해 위키피디어를 찾아봤더니 듀폰에서 1959년에 개발한 소재라고 한다.
For clothing, spandex is usually mixed with cotton or polyester, and accounts for a small percentage of the final fabric, which therefore retains most of the look and feel of the other fibers.
잘 알다시피 쫀쫀함(expands)의 대명사가 되었고 의류에는 면이나 폴리에 섞어서 사용한다고.
윈터 카라도 메리노 울에 스판을 섞은 제품이다. 메리노 울의 포근함과 스판의 쫀쫀한 기능성이 잘 조화된 제품이다. 정품 버프도 갖고 있는데 버프 못지 않게, 아니 오히려 더 편할 정도로 쫀쫀하다.
메리노 울이 여전히 내 피부엔 조금 가려운듯 하지만 일단 계속 사용하면서 적응해볼 생각이다.